728x90
반응형

Java 4

[Java] 자바에서 숫자 뒤에 접미사 L을 붙이는 이유

자바를 사용하다 보면, 숫자 뒤에 L을 붙이는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죠:long d = 1000000000000L; 여기서 L이 왜 필요한 걸까요? 변수를 long 타입으로 선언했는데도 L을 붙여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? 이번 글에서는 이 궁금증을 해결해보겠습니다! 🚀1. 기본적으로 자바의 숫자는 int로 해석된다!자바에서 숫자를 코드에 직접 쓰면, 기본적으로 int 타입(4바이트, 32비트)으로 간주됩니다. 즉, 자바는 "이 숫자는 int 타입일 거야!" 라고 생각하는 것이죠.int 타입이 저장할 수 있는 숫자의 최대값은 다음과 같습니다:int 최대값: 2,147,483,647 (약 21억) 만약 이 범위를 초과하는 숫자를 사용하면, 자바는 오류를 발생시킵니다! ?..

개발 2025.01.30

[JPA] EntityManagerFactory와 EntityManager 이해하기

1. EntityManagerFactory란?EntityManagerFactory는 엔티티 매니저(EntityManager)를 생성하는 팩토리 객체입니다.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관리하며, 여러 개의 EntityManager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.EntityManagerFactory의 특징✅ 애플리케이션에서 단 하나만 생성해야 합니다. (비용이 크기 때문)✅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설정 및 관리합니다.✅ EntityManager를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.EntityManagerFactory 생성 예제import jakarta.persistence.EntityManagerFactory;import jakarta.persistence.Persistence;public class JpaExample ..

개발 2025.01.30

[Java] Enum 이해하기

Java에서 enum(열거형)은 관련된 상수들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강력한 데이터 타입입니다. 기존의 final static 상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enum을 활용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enum의 개념과 사용법, 그리고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 1. Enum이란?enum은 여러 개의 상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특수한 클래스입니다. 특정 값들이 미리 정해져 있고 변경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요일, 상태 코드, 방향 등을 enum으로 정의하면 더욱 명확하고 안전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✅ Enum의 기본적인 예제public enum Day { SUNDAY, MONDAY,..

개발 2025.01.29

[Java] 개발하면서 궁금해서 공부한 record, 사용하는 방법은?

자바 14부터 record 키워드가 도입되었고, 이후 자바 16에서 정식 기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 record는 데이터 중심의 클래스를 더욱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능입니다. 기존의 POJO(Plain Old Java Object) 스타일 클래스 정의와 비교해 훨씬 간단하면서도 불변 객체를 생성하는 데 적합합니다. 이번 글에서는 record의 개념, 사용 방법, 장단점, 그리고 실제 코드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. 1. record란 무엇인가?record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특별한 유형의 클래스입니다. 이를 통해 간결하고 불변성(immutability)을 보장하는 데이터 구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기존에는 데이터 클래스를 작성할 때 필드, 생성자, getter, equals, h..

개발 2025.01.23
728x90
반응형